기타 리뷰와 정보

임신성 당뇨 원인, 임당 식단, 식품교환표로 혈당관리 - 남편도 같이 알아야 한다. (임산부 관리)

인도거즤 2023. 7. 10. 12:54
반응형

와이프의 임신 26주차가 되어 일산 차병원에서 검진을 위해 방문 하였고 이 날

임산부 당뇨 정밀 진단을 받았습니다.

임산부당뇨 정밀 진단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공복 시 포도당 100g 을 경구 부하 후 1시간 / 2시간 / 3시간 뒤의 혈당을 측정해 2회 이상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 임산부 당뇨로 진단 받게 된다고 합니다.

임신성당뇨의 발생 이유는 임산부 나이 / 다태임신 (둘 이상의 태아를 갖는 임신) / 임신 전 비만 등 여러 이유로 인해 임신성 당뇨가 발생 할 수 있으며 제 2형 당뇨병으로 가족력이 있을 경우 상대적으로 더 높은 확률로 임신성 당뇨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합니다.


임신성 당뇨

임신성 당뇨란?

고혈당의 정도와는 무관하게 임신 중 발견되거나 생긴 내당능 이상

(공복 시 혈당치가 110~120mg/dL인 상태)

임신성 당뇨의 증상과 발견

대부분 증상은 없으며, 산전 검사를 통해 발견.

합병증

혈당이 조절되지 않으면 태아가 거대아가 될 수 있음.

출산 후 대부분 임신성 당뇨는 사라지지만 10년 이내에 제 2형 당뇨 발생 확률이 다른 사람에 비해 높음.

임신성 당뇨 치료 방법과 그 이유

임신성 당뇨병이 있었던 여성은 당뇨병 발생의 고위험군이며 당뇨병 예방을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함.

1. 식사요법을 통해 목표 혈당 기준에 맞춰야 함.

목표혈당

공복에서 95mg/dL 미만,

식후 1시간 후 140 mg/dL 미만,

식후 2시간 후 120 mg/dL 미만.

2. 급격한 체중 증가를 피해야 함.


임신성 당뇨 (임당) 식단

케어소프트 채혈기

임신성 당뇨 진단을 받으면 임산부는 식단 관리를 통해 음식 섭취 후 혈당을 체크 해야 합니다. 혈당을 체크 하는 방법으로는 하루 4회 (공복 / 아침, 점심, 저녁 식후 1시간 뒤) 에 걸쳐 채혈기로 자가 채혈 및 검사를 해야 하는데 하루에 4번이나 바늘로 피를 내야 하기 때문에 보는 사람도 고통 스럽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남편도 임신성 당뇨를 알아야 하며 식단관리를 같이 해야 합니다.

일산 차병원 에서 안내 받은 식이요법표를 보기 쉽게 엑셀 차트로 정리 하였습니다.

위 차트는 제 와이프의 키와 체중을 계산 하여 얻은 필요 열량 1900kcal를 섭취하는 표 입니다. 모든 사람이 다 위의 표와 같이 먹어야 된다는 절대 값이 아님을 먼저 말씀 드립니다.

설명 하자면

 

곡류군 7.5를 하루 동안 1/1/2/0.5/2/1 로 나눠 먹어야 합니다.

탄수화물은 당질 이 있기 때문에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할 영양소 입니다.

어육류군 7을 아침 2/ 점심 2/ 저녁 3 으로 3번에 걸쳐 나눠 먹어야 합니다.

채소군 8을 아침 2/ 점심 3/ 저녁 3 으로 3번에 걸쳐 나눠 먹어야 합니다.

지방군 4를 아침 1/ 점심 1/ 저녁 2로 3번에 걸쳐 나눠 먹어야 합니다.

우유군과 과일군을 하루 2씩 간식으로 먹어야 합니다.

종합 하자면,

아침으로 곡류군 1, 어육류군 2, 채소군 2, 지방군 1을 먹어야 하며

간식으로 곡류군 1, 우유군 1

점심으로 곡류군 2, 어육류군 2, 채소군 3, 지방군 1....

과 같이 식이요법을 진행 해야 합니다.

식이요법을 진행 하면서 허기가 진다면 채소류, 해조류, 곤약 및 차류 등으로 공복감을 달래면 됩니다. 오이 / 파프리카가 임신성 당뇨에 좋은 채소 이며 자유롭게 먹을 수 있는 식품 입니다.

저혈당 증세가 있을 땐 설탕, 꿀, 사탕, 카라멜, 주스나 요쿠르트를 통해 소량의 당분을 섭취 하면 됩니다.

 

조리용 저울

식사 요령과 주의 사항으로는

1. 규칙적인 식사

2. 매 끼니 마다 단백질 섭취

3. 소량의 아침 식사

4. 섬유소 많은 음식 섭취

5. 콜레스테롤 & 포화지방산 음식 피하기

6. 저울을 통해 1교환 단위의 양에 익숙 해지기

7. 고기류는 기름을 제거, 닭고기는 껍질을 벗긴 후 조리

8. 식물성 기름 사용, 비정제 향신료나 양념류 사용

9. 외식 횟수 줄이고, 비자극적인 음식 섭취

10. 공복감 생길시 부피가 크고 열량이 낮은 음식 먹기

11. 식후 운동하기(걷기가 적당하지만 자궁경부가 짧거나 전치태반의 경우 운동을 하지 않는게 좋습니다) 가 있습니다.

*전치태반 : 태반이 자궁 경관(internal os)을 일부 또는 완전히 덮고 있는 경우

아래는 병원에서 받은 식품교환표 입니다.

 
 

식품 교환 모형

위의 식품 모형은 식품별 1교환 단위에 대한 수량을 가늠하기 위한 것이며, 좀 더 디테일 하게 엑셀로 정리 하여 아래 표를 만들었습니다. 아래 표 중 빨간색은 주로 섭취하는 식품으로 육안으로 식별하기 쉽게 (제가 보기 편하게) highlighted by red 하였습니다.

위의 표는 식품군 1교환 의 수를 나타낸 것입니다.

하루 삼시 세끼니 외에도 중간 중간 3번의 간식을 섭취해야 하는데 위의 표와 식품 교환 수를 바탕으로 아래와 같이 하루 식단 표를 작성할 수 있었습니다.

섭취 순서는 채소군을 먼저 먹어 포만감을 만들고 난 뒤,

곡류군과 지방군을 먹는 것이 좋습니다.

조리 전 식품의 중량 체크를 꼭 해야 합니다. 그래야 섭취 되는 영양소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저는 요리용 저울을 구매 하여 식이요법을 진행 중 입니다.

 

아 포스팅을 위해 글을 쓰다보니 마트에 갈 시간이 되었네요.

저는 와이프에게 줄 아이비 크래커와 상추를 사러 나가야 겠습니다.

*상추 가 혈당을 낮추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습니다. 상추 많이 드세요!!!

반응형